적호의 중관장엄론 (10) 썸네일형 리스트형 적호의 중관장엄론 4 (사진) 完 3. 해탈의 검토; 83-90 4장 결론 162 p 5장 참고문헌 185~193 6장 부록 - 중관장엄론에 대하여 205p 적호의 중관장엄론 3 (사진) 3. 본장에 대한 적호의 결론 - 단일성과 다양성의 부정; 61 3장 경전의 가르침에 의한 증명 적호의 중관장엄론 2 (사진) 2. 인식 주관에 대한 검토; 16-60 적호의 중관장엄론 1 (사진) 적호의 중관장엄론 1 (1~47p) 차례 5p 범례 귀경게 1장 저작의 목적과 주제 2장 논리에 의한 증명 적호의 중관장엄론 6 적호의 중관장엄론 6● 제4장 결론1. 적호의 종교적 철학적 입장1) 세속제의 세계는 유식唯識에 다름 아니다2) 유식무아3) 불생의 해석에 근거한 유식설로부터 중관설로의 향상2. 여래의 가르침의 정수1) 타학설에서 발견되는 대승의 가르침(1) 베단타 • 비슈누 • 쉬바 • 상키야(2) 슈바굽다2) 비교할 때 없이 뛰어난 공성설참고문헌1) 전집 • 학술지 약호2) 원전 약호3) 번역과 연구 자료● 부록 - 중관장엄론에 대하여1) 중관학파의 공사상2) 적호와 《중관장엄론》3) 중학파 공사상의 실천적 의미 ● 제4장 결론; 91-97 1. 적호의 종교적 철학적 입장; 91-93 (1) 세속제의 세계는 유식에 디름아니다; 91자기 인식(自己認識)도 세속제에 속한다는 것은 단일하거나 다양한 자성[을 가지고 .. 적호의 중관장엄론 5 적호의 중관장엄론 5 제3장 경전의 가르침에 의한 증명1. 세속제의 검토1) 일체의 사물은 세속제를 상으로 한다2) 세속제의 정의(1) 그것은 비존재가 아니다(2) 그것은 원인을 가진다2. 승의제의 검토 - 일체법 무자성의 의미1) 타학파가 주장하는 자성의 부정2) 불생에 대하여(1) 불생의 정의(2) 불생과 승의제3) 일체법 무자성은 누구에 의해서 어떻게 이해되는가(1) 공성과 어리석은 자들(2) 공성과 요가행자들4) 일체법 무자성의 증명5) 중관론과 허무론의 차이(1) 분별과 그 원인(2) 상견과 단견의 부정3. 해탈의 검토1) 번뇌의 원인과 해탈을 향한 길2) 세속적 인과관계의 승인3) 해탈을 위한 실천(1) 삼륜청정의 보시(2) 무집착제3장 경전의 가르침에 의한 증명; 63 - 90 이상의 것은 .. 적호의 중관장엄론 4 적호의 중관장엄론 4 (50~) 차례 (4) 무상유식설비판가) 단일한 지식과 다양한 형상의 모순나) 무상유식설다) 형상이 비존재임에도 불구하고 지각된다는 사실의 불합리성ㄱ) 어리석은 사람에게도 지각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ㄴ) 비존재인 형상은 지각되지 않는다ㄷ) 비존재인 형상과 지각 사이에는 어떤 관계도 성립하지 않는다ㄹ) 수정과 같은 지식은 지각할 수 없다 - 적호와 무상유식파의 차이점ㅁ) 비존재인 형상과 미란의 관계 - 형상은 의타기성ㅂ) 법칭에 대한 비판ㅅ) 슈바굽타에 대한 비판- 유예불성의 오류 부정3. 본장에 대한 적호의 결론 - 단일성과 다양성의 부정- 동품정유성의 확정- 이품변무성의 확정 4) 무상유식설비판; 50 -60 가) 단일한 지식과 다양한 형상의 모순; 50 - 51 '마노瑪瑙와 .. 적호의 중관장엄론 3 적호의 중관장엄론 3 (34~49) 차례(2) 지식의 자성은 단일성이라는 주장에 대한 비판가) 경량부의 주장과 그에 대한 비판나) 바이세시카의 주장과 그에 대한 비판다) 자이나 • 미망사의 주장과 그에 대한 비판라) 로카야타의 주장과 그에 대한 비판마) 상키야의 주장과 그에 대한 비판바) 베단타의 주장과 그에 대한 비판사) 경량부의 주장과 그에 대한 비판아) 적호의 결론 - 지식의 단일성 부정5) 유식설의 검토(1) 유식설의 소개(2) 유식설 검토의 필요성(3) 유상유식설 비판가) 단일한 지식과 다양한 형상의 모순나) 지식의 자성은 다양성이라는 이론에 대한 비판ㄱ) 경전의 가르침과 대립ㄴ) 극미설과 동일한 오류 (2) 지식의 자성自性은 단일성이라는 주장에 대한 비판; 34 - 60거기서 지식이 다양한 .. 이전 1 2 다음